나는 나르시시스트인가?

카테고리 없음 2009. 12. 21. 22:26
  일주일 전, 이별을 겪고 난 뒤에 나는 자연스레 김형경씨를 '천 개의 공감'과 '사람풍경'을 통해 다시 만났다. 
  김형경.. 나를 자기 성찰로 인도해 준 작가. 
  노란 방에서 울고있는 일곱 살 여자아이를 보게해 준 그런 사람.
 
그녀는 소설가 김형경보다 심리치유에 관한 저서와 강연으로 더욱 유명하다. 24일 목요일에 그녀가 KBS1 '아침마당'의 목요특강에서 강연한다기에 출연과 강의 내용이 기대된다. 
  두 권의  책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것은 마치 그녀가 나랑 절친한 언니가 되어
  "응응, 그랬었구나. 네가 얼마나 맘이 상했을지 짐작이 돼. 그런데 말이지 한 번 이런 것들을 생각해봐야할 것 같아. 내 이야기 들어볼래?" 라고 말해주는 것 같다. 
  그러니까 만인의 형경언니가 되어 담담히 독자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,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준다. 

 
  그런데 읽던 중에 '나는 나르시시스트인가?'하는 의심이 생겼다. 
  나를 놀라게 했던 '천 개의 공감' 속의 한 문장.

  '혹시라도 세상이 나의 논리나 도덕에 맞추어주기를 바란다면 그것이 곧 병리적 나르시시즘일 것입니다.'

  이 문장은 내가 부모님의 말에 순종하지 않고 '너 잘 났다'라고 욕을 실컷 먹으면서도
나에겐 그른 것이 없다며 왜 내 맘을 그렇게도 몰라주냐며 나의 논리를 또박또박 말해가며 두 분께 대들었던 모습들을 스쳐지나가게 했다. 또한 스무 살 때, 남자친구에게 나의 애정을 가장한 잔소리들, '내가 너를 구원해줄 수 있어'와 같은 착각들, 내가 원하는 세상과 다른 세상이라며 신문을 보며 분노하던 내 모습, 여러명의 모임보다는 일대일 대화가 더 좋은 것 등등..

  오늘 나는 말로 부모님을 죽였다.
  또박또박 말대꾸하며 서럽게 울었다.
  그렇게 서럽게 '끄억끄억'거리며 눈물이 난 건, 단순히 두 분의 입장을 헤아리기 보다는 나를 몰아세우는 서운함과 나를 몰라주는 서러움 때문이었다.
  '아빠가 내 맘 알아요? 내 입장 되어봤어요? 
   아빠는 지나간 일 되짚는 거 싫어하면서, 왜 나를 지나간 일로 혼내? 
   엄마는 나의 마음 죽어도 몰라요. 그동안 내가 얼마나 많이 참고 살아왔는지.
   나 여태껏 혼자서도 잘 큰다고 칭찬했었잖아요. 그러면 끝까지 믿어주면 안돼?'
  
  책상에 엎드려 눈물을 펑펑 쏟았다. 그 후에 내 맘을 가라앉히고 '나르시시즘'에 대한 개념과 '나르시시스트'들의 특징을 검색하여 이 블로그, 저 블로그 다녔다.
  여러 글들을 읽으면서 뭐 나는 병리적인 나르시시스트는 아닌 것 같다만, 그래도 우려되는 부분들이 역시 있었다.
  그러던 중에 티스토리의 블로거의 변화들을 읽게되었다. 그 변화들은 사람들에게 신경 덜쓰기, 더욱 많아진 에너지, 잡다한 것들에 대해 줄어든 관심.

  그녀의 변화들은 내가 평소에 변화되었으면 하는 부분들이었다. 
  너무 관계에 얽매였던 나, 쫌 관계에서 자유로워졌으면 했었다.
  한가지에 집중하기 힘든 나, 신경쓰이는 게 많아서 나를 잊을 만큼 어떠한 것에 몰입했으면 했었다. 그것은 대체로 학교의 중간, 기말고사와 나의 능력을 가늠하는 사례연구 과제들이었다. 그리고 내가 했던 과제들은 스스로 완벽하다고 칭찬한다. ;ㅁ;
  호기심이 많은 나, 다양한 종류의 책들을 이 책 저 책 떠들석 거리다가 맘에 들면 완전 즐겁게 읽고, 재미없거나 별로이면 냉정하게 덮어버리는 불량 Reader이다. 
  이런 내가 변화될 수 있을까?

  나 자신을 알고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이라고,
  나를 성찰하는 이 몸부림, 참 눈물겨운데 눈물 겨운 만큼 반짝반짝 빛날 수 있겠지?
  

  형경언니의 조언을 끝으로 이 쯤에서 글을 마치자. 한결 후련하네.

 '자신의 경험을 의식화하고, 문제점과 해결책을 내부에서 찾아내고, 그것을 현실에서 반복해서 실천함으로써 체화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.
  인간은 동일시를 통해 성장한다고 몇 차례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. 타인의 선함과 지혜뿐 아니라 조직의 가치나 질서 역시 내부로 받아들여 그것을 자신의 일부로 만들면서 정신을 성숙시킵니다. 자신만이 '옳고 선하고 정당하다'는 관념에 갇혀 있으면 외부의 지혜나 새로운 가치를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.'
     

설정

트랙백

댓글